본문 바로가기
고마운 한글

바래요 바라요 바램 바람 구분 - 그 이유 쉽게 설명

by 리틀빈센트 2021. 7. 18.

 

 

 

[바램 바래요] 맞춤법상 틀린 표현인 이유와 바른 표현법에 대해서

우리가 잘 주 틀리게 사용하는 표현 중의 하는 아마도 바래요 바라다 바램 바람일 것입니다. 당연히 맞다고 생각하면서 사용하는 표현들이 실제로는 맞춤법상 틀린 표현인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무엇이 맞을까요?

1. '늘 건강하기를 바래요.' V '늘 간강하기를 바라요.'

2. '나의 바램은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V '나의 바람은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 정답 : '늘 간강하기를 바라요.' '나의 바람은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바래다] [바라다]와 [바램] [바람] 중에 무엇이 맞느냐에 대한 논쟁은 예전의 [자장면] [짜장면] 논쟁만큼이나 한글 맞춤법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며 흔히 틀리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그것에 대한 설명도 인터넷상에 많이 나와 있지만, 약간의 설명 혹은 단순한 답을 말해 주는 정도에 그칩니다. [바래다] [바라다]와 [바램] [바람]의 틀리지 않고 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사람들이 틀리게 사용하는 이유 등도 살펴보고자 합니다.

 

 

 

바라다 바래다

 

 

 

 '바라다'의 사전 뜻

 

우선 '바라다'「동사」의 뜻과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

· 뜻 1 :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 예 : A. 너의 성공을 바란다. B.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되기를 바란다

 

· 뜻 2 : 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 예 : 금전적인 것을 바라고 도와준 게 아니야.

 

· 뜻 3 : 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 예 : 우리는 흥분된 기분으로 바다를 바라고 뛰었다.

-------------------------------------------------

 

 

 '바라다'의 어미 활용 - '만나다' 비교 적용

 

[바라다]는 동사이며 이것과 같은 형태의 다른 동사와 같은 규칙성을 가지고 어미 활용을 합니다. 즉, [바라다]의 활용을 쉽게 적용하려면 같은 어미 활용을 하는 [만나다]와 비교해 보면 된다.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만나다 ↔ 바라다

· 만난다 ↔ 바란다

· 만나요 ↔  바라요

· 만나 ↔ 바라

· 만납니다 ↔ 바랍니다

· 만나고 ↔  바라고

· 만나서 ↔  바라서

· 만나니 ↔  바라니

· 만나지 ↔ 바라지

· 만남 ↔ 바람

 

위에서 보듯이 [바라다]와 같은 규칙성을 가진 [만나다]를 비교하여 적용하면, [바라다]의 어미 변화를 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을 다시 문장의 형태로 확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친구를 만나다 ↔ 성공을 바라다

· 친구를 만난다 ↔ 성공을 바란다

· 친구를 만나요 ↔ 성공을 바라요

· 친구를 만나 ↔ 성공을 바라

· 친구를 만납니다 ↔ 성공을 바랍니다

· 친구를 만나고 ↔  성공을 바라고

· 친구를 만나서 ↔  성공을 바라서

· 친구를 만나니 ↔  성공을 바라니

· 친구를 만나지  ↔ 성공을 바라지

· 우리(의) 만남 ↔ 나의 바람

 

 

 

 

 

 

 자주 틀리게 사용하는 [바래요]  [바램]

 

자주 틀리게 사용하는 경우를 몇 개 열거하여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성공을 바라요 (O) ↔ 성공을 바래요 (X) 

· 성공을 바라 (O) ↔ 성공을 바래 (X)

· 성공을 바라서 (O) ↔ 성공을 바래서 (X) 

· 나의 바람 (O) ↔ 나의 바램 (X)

 

[성공을 바래요] [성공을 바래] [성공을 바래서] [나의 바램]이 입에 더 착 달라붙고 오히려 더 맞게 들리기까지 합니다. 또한 이러한 표현은 실생활에서도 적지 않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노래 가사 등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현행 맞춤법상 틀린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하다면, 지금까지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렇게 틀리게 사용해 온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해집니다.

 

 

[바라다] 틀리게 사용하는 이유 - 추측

 

< 이유 추측 1 >

다른 뜻을 가진 단어 '바래다'(동사)와 혼동하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

1. 바래다 「동사」
· 뜻: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
· 예: 오래 입은 셔츠가 흐릿하게 색이 바랬다.
2. 바래다 「동사」
· 뜻: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하거나 바라보다.
· 예: 집까지 바래다 달라니까 그렇게 했다.

-------------------------------------------------

 

< 이유 추측 2 >

'바람이 불다'의 [바람]과 나의 [바람]의 발음이 동일하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나의 바램]이라고 써 왔던 건 아닐까요?

-------------------------------------------------

바람 「명사」
· 뜻: 기압의 변화 또는 사람이나 기계에 의하여 일어나는 공기의 움직임.
· 예: 바람이 불다.

-------------------------------------------------

 

예를 들면,  "바람이 많아요" 이 말은 '부는 바람'인지 '희망이나 욕망'을 뜻하는 것인지 전체 문맥을 알지 못하면 쉽게 알기 어렵습니다.

1. 이 바닷가에는 바람이 많아요.

2. 그 친구의 바람이 너무 많아서 나중에 실망할지도 모르겠어요.

 

이처럼 '바라다'를 '바래다'의 다른 뜻의 동사와 혼동하거나, '바람이 불다'의 '바람'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그렇게 표현해 왔을지도 모른다는 나름대로 이유를 제시해 보았습니다. 물론 어디까지나 추측에 불과합니다.

 

 

 [짜장면]과 [바래요]

 

참고로 [짜장면]은 2011년 8월 22일 국립국어원 국어심의회 전체 회의에서 표준어로 확정되었고, 그전까지는 [자장면]만 표준어에 해당되었습니다. 즉, 온 국민이 [짜장면]이라고 표기하거나 발음함에도 불구하고 2011년 이전에는 틀린 표현이었다는 것입니다. 현재는 [자장면] [짜장면] 모두 표준어로 사전에 등재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바라다]도 많은 사람들이 [바래요] [바램]이라고 사용하면 맞는 표현으로 바뀔 수 있을까요? 짜장면이 표준어가 되기까지 해방 이후로만 계산해도 61년이 걸린 셈입니다. 그렇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기존에 규정된 어법을 바꾸는 일이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바라다' 쉬운 사용 방법

 

우리가 쉽게 알 수 있는 [만나다]의 활용과 비교 적용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 만나다 - 바라다 비교

· 친구를 만나요 ↔ 성공을 바라요 (O) 

· 친구를 만나 ↔ 성공을 바라 (O) 

· 친구를 만나서 ↔  성공을 바라서 (O) 

· 우리(의) 만남 ↔ 나의 바람 (O) 

 

 

우리 모두의 바람은 이전의 생활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되길 바라요.

 

 

 

 

댓글